서울대병원 출신의 비뇨의학과 전문의가
'온'전히 비뇨의학과 질환에만 집중하여 진료합니다.
혈정액증은 정액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선혈이나 응고된 혈액 덩어리가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젊은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별한 이유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일정 기간 증상이 있다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때때로 전립선암, 전립선염 등
전립선 질환과 하부요로계의 염증이나 폐색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알맞은 치료를 해야 합니다.
부고환, 정관, 정낭, 전립선등에 이상이 있으면 혈정액증이 발생합니다.
사정되어 나오는 정액의 초반부에 피가 섞여 나오면 전립선 질환일 가능성이 높고,
후반부에 피가 섞여 있으면 정낭 질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혈압, 요검사, 전립선액검사, 혈액검사(PSA검사), 전립선초음파, 정액검사 등을 통해서
원인질환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정액증의 상당수는 일시적이고, 자연히 소실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혈정액증이 자연히 소실되어도 드물게 전립선암 등과 연관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대부분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고 종양 등의 위험한 원인은 흔하지 않으므로 두려워하지 마시고,
혈정액증이 일시적인 경우도 꼭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 질병관리본부_대한의학회 -
야간 수분 섭취를 제한 하는것이 좋습니다. 되도록 채식 위주 식습관도 도움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알파차단제가 투여되나 전립선 용적이 클 경우 5알파환원효소차단제, 빈뇨 및 절박뇨 동반시 항콜린제나 베타길항제등이 투여됩니다.
유로리프트, 리줌, 플라즈마, 홀렙 등 환자의 전신상태와 전립선 크기 및 배뇨증상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