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N-URO
병원소개
서울대병원 출신의 비뇨의학과 전문의가
'온'전히 비뇨의학과 질환에만 집중하여 진료합니다.
소변에 혈액이 섞인 비뇨기계 계통의 이상 신호입니다. 색상이 갈색 혹은 거품을 띄는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검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사구체 신염, 유전성 신염, 신장 종양, 신우신염, 악성고혈압, 신장 동정맥류, 신장 결핵, 신장 결석 등
방광암, 전립선암, 방광염, 요도염, 요로결석, 전립선질환, 전신성출혈성질환 등
비타민C섭취, 비트와 같은 야채 섭취, 과도한 운동, 약물
만성 신장 질환인 만성 신부전이나 사구체신염 등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객관적인 검사가 중요합니다.
측복통 여부, 배뇨증상 여부, 전신증상
여부들을 확인합니다.
증상의 여부 및 적혈구 양상, 백혈구 포함여부,
요배양검사 그리고 요세포검사를 시행합니다.
비뇨기계 결석 및 석회화
질환여부를 감별합니다.
혈관내 조영제 투여하여 단순복부촬영에서 보이지 않는
요로결석, 비뇨기계 질환들을 확인합니다.
신장과 방광을 검사하여 결석, 수신증, 종괴,
해부학적 이상 여부를 확인 합니다.
유발할 수 있는 요도, 전립선, 방광내
질환 여부를 확인합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료 또한 원인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합니다.